본문 바로가기

 

 

목 차

    질병 바로알기

    결핵 증상, 종류 원인 그리고 검사와 치료 (결핵약, 전염 여부)

    by 유병백세 2023. 10. 15.

    결핵 증상, 종류 원인 그리고 결핵 검사와 치료 (결핵 전염 여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핵 증상, 결핵 종류에 따른 원인 및 결핵 검사 방법 그리고 결핵 치료 (결핵약) 방법에 대해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결핵 증상, 결핵 전염

     

    결핵은 그 차제로도 위험하지만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주위에 전염 되기 쉽기에 결핵 증상 발생 시 즉시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핵 증상, 어떤가요?

     

    결핵 증상

     

    결핵은 주로 폐를 공격하는 감염이지만, 다른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주된 결핵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만성 기침:

     

    최초에는 건강한 사람들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침이 나중에 만성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결핵 증상입니다.

     

    2) 폐렴:

     

    가래와 함께 가열 및 흉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체중 감소:

     

    식욕 부진 및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피로감 및 무기력:

     

    지속적인 피로와 무기력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밤에 땀이 나는 과다한 땀:

     

    특히 야간에 땀이 과다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6) 열감 및 발열:

     

    감염이 진행되면 발열과 열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 몸을 자주 앞으로 숙이게 되는 경우:

     

    폐결핵의 경우 호흡에 어려움을 겪기에 종종 몸을 앞으로 숙이게 되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이 또한 폐렴을 의심할 수 있는 폐렴 증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폐 이외의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결핵은 각 부위의 특수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뼈 결핵 증상은 통증이나 관절 부위의 감각이상을 동반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결핵 종류에 따른 결핵 원인, 어떤게 있나요?

     

    결핵 종류, 결핵 원인

     

    다음으로는 결핵 종류에 따른 결핵 원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핵은 주로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유발되며, 폐에 영향을 주는 폐결핵이 가장 흔합니다.

     

    그러나 결핵균은 다양한 부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다양한 결핵의 종류가 있으며 아래는 주요 결핵 종류와 그 원인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폐결핵은 주로 결핵균에 의해 유발되며 이는 가장 공통적인 결핵 원인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공기 중에서 감염된 미세 입자를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2) 뇌막결핵 (Meningeal Tuberculosis):

     

    뇌수막에 감염이 생기면 뇌막결핵이라고 합니다. 폐결핵이 혈액을 통해 뇌로 전이될 수 있습니다.

     

     

     

     

    3) 뼈 및 관절결핵 (Skeletal Tuberculosis):

     

    뼈나 관절에 감염이 생기면 뼈 결핵 또는 관절 결핵이라고 하는데, 특히 척추의 경우, Pott병이라고도 불립니다.

     

    4) 복막결핵 (Peritoneal Tuberculosis):

     

     복막에 감염이 발생하면 복막결핵이라고 합니다.

     

    5) 폐외 결핵 (Extrapulmonary Tuberculosis):

     

    폐 이외의 기관 또는 조직에 감염이 생길 경우 폐외 결핵이라고 하며 간, 비장, 콩팥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핵균은 공기 중의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결핵에 감염된 사람과 밀접한 접촉이나 공동체에서의 확산이 주된 결핵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이나 항암 치료, HIV 감염 등으로 인해 면역 억제 상태인 경우에 높은 위험을 가지게 되므로 결핵은 조기에 발견되고 치료되어야 하며, 맞춤형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결핵 전염 되나요?

     

    결핵 전염

     

    결핵에 관한 가장 많은 질문 중 하나는 바로 결핵 전염 여부로, 아래에 관련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이라는 세균에 의해 전염되는 감염병으로 결핵은 주로 감염자의 기침, 환기, 콧속의 분비물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나온 미세한 감염된 물방울을 통해 전염됩니다.

     

    결핵균은 공기 중에서 상당한 시간동안 생존할 수 있어, 감염된 환경에서는 전파의 위험이 존재하며 결핵 전염의 경로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결핵 전염되는 주된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감염자의 기침:

     

    결핵 환자는 기침할 때 많은 수의 결핵균이 함유된 물방울을 공기 중으로 내뿜습니다.

     

    2) 공기 중 전파:

     

    감염자의 기침으로 나온 미세한 물방울이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다른 사람이 호흡을 통해 들어가면 전염됩니다.

     

    3) 긴밀한 접촉:

     

    결핵 감염자와 긴밀한 접촉이 있는 경우, 감염된 입자에 노출되어 전염될 수 있습니다.

     

    4) 공동체 내 전파:

     

    감염된 사람들이 함께 지내는 공동체나 밀접한 환경에서 전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핵 전염을 피하기 위해서는 결핵 환자와의 긴밀한 접촉을 피하고, 감염자의 기침을 피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의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핵 검사 방법과 치료 방법 그리고 결핵약

     

    결핵 검사, 결핵 치료, 결핵약

     

    마지막으로 결핵 검사 방법 및 결핵 치료 방법 특히 결핵약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결핵 검사는 의료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실시되어야 하는데 결핵 검사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부 시험 (Tuberculin Skin Test - TST 또는 Mantoux Test):

     

    피부에 결핵균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는 테스트입니다. 결핵 백신을 맞은 경우에도 양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혈청 검사 (Blood Tests):

     

    혈액 내의 특정 항체 또는 항원을 검출하여 결핵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혈청 검사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s (IGRA)가 있습니다.

     

    3) 흉부 X선 또는 기타 영상 검사:

     

    폐결핵을 확인하기 위해 흉부 X선이나 기타 영상 검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4) 가래 검사:

     

    결핵균이 함유된 가래를 분석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가래 검사가 있습니다.

     

    5) 폐측정 검사:

     

    폐 기능을 측정하여 결핵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폐측정 검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결핵 검사는 의료 전문가의 지도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증상이나 결핵에 노출된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결핵 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으로는 결핵 치료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결핵은 항생제를 사용한 긴 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감염병입니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여러 가지 항생제를 조합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는 일정 기간 동안 계속되어야 하며, 치료를 중단하거나 결핵약을 생략하는 경우 재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핵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소니아지드 (Isoniazid):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생제 / 결핵약 중 하나로, 주로 결핵균을 죽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2) 리팜핀 (Rifampin):

     

    결핵균에 대한 다른 항생제로, 이소니아지드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3) 피라진아마이드 (Pyrazinamide):

     

    특히 초기 치료 단계에서 사용되며, 결핵균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4) 에티옴바이드 (Ethambutol):

     

    다른 항생제로의 감수성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결핵약 조합은 "결핵 치료 약물 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습니다.

     

    결핵 치료 기간은 일반적으로 6개월에서 2년 이상에 이를 수 있으며 치료 과정 중에는 주기적인 의료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결핵약 부작용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결핵 치료는 의료 전문가의 지도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약물을 정확한 용량과 기간 동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결핵약 및 항생제 치료를 중단하거나 스스로 조절하는 것은 치료의 효과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약물 내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결핵 증상, 결핵 종류에 따른 결핵 원인 그리고 결핵 검사 및 치료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결핵 전염성이 강하기에 결핵이 의심되신다면 결핵약을 복용하시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셔야 합니다.

     

    황달 증상, 신생아 성인 할 것 없이 모두 나타나는 원인, 치료 해법은?

     

    황달 증상, 신생아 성인 할 것 없이 모두 나타나는 원인, 치료 해법은?

    황달 증상, 황달 원인 그리고 치료 방법, 황달 수치 이번 포스팅에서는 황달 증상, 황달 원인 및 황달 치료 방법과 황달 수치에 대해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황달 증상은 성인뿐만 아니라 신생

    healtylifehack.tistory.com

    폐렴 증상 원인 치료 전염 여부,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필수

     

    폐렴 증상 원인 치료 전염 여부,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필수

    폐렴 증상 원인 치료 및 전염 여부,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필수 이번 포스팅에서는 폐렴 증상 부터 폐렴 원인, 치료, 전염 여부에 대해 살펴보고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도 공유

    healtylifehack.tistory.com